WLAN 관련 글 보기
WIFI 6(802.11ax)의 특징 및 주요 기술, 보안 관련(WPA3) 이슈 간단 정리
WLAN 보안 측면(IEEE 802.11i) 간단 정리, 접속 절차 및 키 분배 방법
802.11 네트워크 요소와 구조
802.11 spec 알아보기 (Standard 별 주파수, 속도, 범위 등 간단 정리)
IEEE 802.11
IEEE 802
- 다양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에 관한 표준안
IEEE 802.11
- IEEE 802 기반의 무선 LAN에 관한 프로토콜과 전송 규격
- IEEE 802.11 WG(Working Group)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이후 다양한 주파수와 데이터 전송속도를 갖춘 WLAN에 대한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
- 이에 따라서 IEEE WG에서는 아래와 같은 확장된 표준안 발표
![]() |
https://www.artur.lv/wp-content/uploads/2015/03/Wifi_802-11ac.png |
802.11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
논리적 링크 제어 계층(LLC: Logical Link Control Layer)
매체 접근 제어 계층(MAC: Media Access Control Layer)
물리계층(Physical Layer)
DSAP(Destination Service Access Point) - 목적지의 주소
SSAP(Source Service Access Point) - 발신지의 주소
Control - 프레임 또는 ACK의 번호를 나타냄
Data - 메시지 내용
SSAP(Source Service Access Point) - 발신지의 주소
Control - 프레임 또는 ACK의 번호를 나타냄
Data - 메시지 내용

- LAN 상에서 네트워크를 질서있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접근 제어 방식
MDPU(MAC Protocol Data Unit) 형식 = PSDU(Physical layer Service Data Unit)
MAC 제어 - MAC 프로토콜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프로토콜 제어 정보
목적지 MAC 주소 - 해당 MPDU의 목적지 주소
발신지 MAC 주소 - 해당 MPDU의 발신지 주소
MSDU - 상위 계층에서 제공된 데이터
CRC - 순환 중복 검사 값을 이용하여 오류 확인

- 신호의 인코딩/디코딩과 비트 송수신 기능을 담당, IEEE 802.11의 경우 주파수 범위와 안테나 특성 등에 관해서도 정의
PPDU(PLCP Protocol Data Unit) 형식
SYNC(Synchronization) : 동기화를 위한 비트
SFD(Start Frame Delimiter) : 프레임의 시작을 알림
PLW(PLCP PDU Length Word) : 페이로드 전체 길이
PSF(PLCP Signaling Field) : 페이로드 전송 속도
HEC(Header Error Control) : 헤더 오류 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