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애드센스 등의 블로그 수익에 관심이 생겨
한끼 식사비라도 생기면 좋지 아니한가! 하고 시작했던 블로그가
점점 나만의 창고, 클라우드가 된 지 오래...
뭐 개인적으로 유용하게 쓰긴 한다.
문득 눈에 들어온 이 책의 제목을 보니
내가 아무것도 모르고 덤벼서 그런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이제는 수익에 큰 관심은 없지만 한번쯤 알아두면 좋을듯한 생각에
쓱 훑어보고 내가 필요한 부분만 정리
1. 애드센스
구글의 광고 시스템. 플랫폼을 통해 유입되는 사람들에게 광고를 띄워주고 그 광고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광고를 클릭한 경우 수익을 만들어주는 구조.
구글 애드센스 광고수익 구조
기업(광고주) -> 애드워즈 시스템을 통해 구글 포털에 광고 입찰
입찰 대상 : 검색 키워드. 광고 클릭당 가격 입찰(입찰 경쟁에 따라 금액 상이)
블로거 -> 애드센스 시스템을 통해 광고코드 가져옴
입찰 경쟁이 치엻한 키워드를 가져와야 클릭당 보상이 높아진다.
2. 애드센스 광고 승인 받기
가. 양질의 컨텐츠 만들기
1) 블로그 주제 명확히 하기
2) 1일 1포스팅
3) 포스팅 내 글자 수 충분히 하기(일반적으로 1000자 이상, 광고승인 필요 시 3000자 이상)
4) 포스팅 내에 링크 넣지 말기?
5) 웹마스터도구 등록하기
6) 포스팅 내용은 표준어로 작성하기
나. 유튜브를 이용한 우회 승인 방법?
1) 유튜브 내에 동영상들을 업로드
2) 유튜브 내의 'youtube 스튜디오' 들어가 수익창출 클릭 시 검토의견 나옴
구독자 1000명, 시청시간 4000시간 기준 확보 시 수익창출 신청 가능
3. 포스팅 노하우
가. 각 검색포털 웹마스터 도구(다음), 서치어드바이즈(네이버)에 블로그 등록
(IP가 변경되면 최적화가 어려움, 동일 IP에서 포스팅하는게 유리함)
나. 포스팅 키워드 선정
검색 통계 기준으로 키워드 선별.
해당 키워드가 카페, 블로그, 뉴스 앱, 웹문서, 지도 중 어디가 먼저 나오는지 확인(블로그가 먼저 검색되는 키워드 찾기)
기존 정보와 이미지 사용 시 85% 이상 동일하지 않도록 작성(유사 문서 필터링됨)
다. 상위 노출에 필요한 3요소
포스팅 컨텐츠의 내용
포스팅 내 체류시간
블로그 내 전체 포스팅 수(최소 400개는 넘어야 방문자 트래픽이 좀 올라간다?)
라. 작성 시 HTML 을 이용해서 메인 제목 또는 키워드에 highlight <H> 태그 넣기
문장 맨 앞에 <H1> 입력, 맨 끝에 </H1> 입력
마. 저품질 블로그 걸리는 유형
실시간 검색어 포스팅
광고성 글 포스팅
다른 사람의 글이나 뉴스 그대로
이미 포스팅한 내용 수정
너무 짧은 간격으로 포스팅
포스팅 내에 동일 키워드를 격하게 넣는 경우
명예훼손, 권리침해, 음란물, 저작권 위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