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ense

글 목록

한라산 백록담 정상에서(구름 위 신선처럼 경치 감상)

 

이번 제주 여행의 메인은 백록담 정상을 찍고 오는 것이었다.

탐방로 예약을 미리 모두 마치고 제주에 왔다.

백록담 정상을 갈 수 있는 길은 성악판 탐방로, 관음사 탐방로의 두 탐방로가 있는데 이번에 오른 곳은 성악판 탐방로이다.

모두 사전 예약을 해야 올라갈 수 있으며, 입산시간은 하절기 5시부터 8시 전까지 등산을 시작해야 한다.


6시쯤 이미 성악판 탐방로 바로 앞 주차장에 자리가 없다는 문자를 받았다.

그럼에도 혹시나 자리가 있을까 해서 가봤지만 10km쯤 떨어진 임시주차장에 주차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오고 있었다. 

어쩔 수 없이 10여분을 운전해 임시주차장에 주차 후 버스를 타고 10여 분을 다시 올라왔다.



여기가 탐방로중에는 가장 긴 9.6km이고, 편도 4시간 30분이 소요된다고 안내하고 있는데 정말 딱 4시간 30분 걸려 올라갔다.


오르는 동안은 대피소에서만 쉬었다가 계속 올랐다.

화장실이 각 대피소에만 있고 정상에는 없으니 꼭 다녀오는 게 좋다.


거의 다 올라왔다 싶을 때 쯤 무한한 계단을 만나게 된다.

그래도 이 계단만 오르면 정말 백록담 정상이라는 생각으로 계속 오른다.


구름 위에 올라와서 보는 경치가 기가 막힌다.






그리고 마침내 도착한 백록담 정상

다만 물이 너무 말라있다.

약 7년 전쯤 왔을 때보다 더 말라 있는 느낌이다.





정상에 오르면 사람이 바글바글하다.


특히 이 비석 앞에서 사진을 찍기 위해 기다리는 줄이 어마어마한데, 나름 연휴에 와서 그런지 이 줄만 1시간 가까이 서서 기다렸다.

이 줄을 서면서 챙겨온 김밥도 다 먹었다.




올라오다보면 여기저기 안내 표시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한라산 등정인증서 신청 안내이다.

정상에서 인증사진을 찍고 이 사진을 첨부해서 신청하면 된다.

정상에서 사이트에 접속해 신청하고, 하산 후 안내소에서 출력할 수 있다.

꼭 저 비석 옆에서 찍지 않아도 된다. 아무데서나 찍어서 올리면 된다.



개인적으로 올라가는 것 보다 내려오는게 훨씬 힘들었다.

오르기 좋게 잘 정리되어 있지만 그래도 바위산이다보니 발목 부상 걱정이 있었고

당일 내려오던 순간에는 무릎이 나가는게 느껴졌으며

다음날부터는 종아리, 허벅지가 나갈 듯 했다.

등산한 지 3일이 지났는데 여전히 종아리가 너무나 뻐근하다.


하지만 그냥 제주도에서 카페나 들렀다 먹기만 하고 돌아오는 것 보다

목표 하나를 이루고 온 느낌에 뿌듯함이 더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