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연구원의 공공언어 통합지원 사이트(https://publang.korean.go.kr)에서 제시하는
IT 용어의 우리말 표현이다.
|
IT 용어 |
우리말 |
|
로그인/로그아웃(log in/log out) |
접속/접속
해지 |
|
메타버스(metaverse) |
확장 가상세계 |
|
메타패션(meta fashion) |
가상세계 패션 |
|
에듀테크(edu tech) |
교육정보 기술 |
|
빅테크(big tech) |
정보기술 대기업 |
|
엔에프티(NFT: Non-Fungible Token) |
대체불가 토큰 |
|
오픈스페이스(open space) |
열린 쉼터 |
|
디렉토리북(directory book) |
안내책 |
|
로테크(low tech) |
단순기술 |
|
플라잉 모빌리티(flying mobility) |
근거리 비행수단 |
|
아르피에이(RPA: Robotics Process Automation) |
업무처리 자동화 |
|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 |
공유 업무공간 |
|
큐레이션 커머스(curation commerce) |
소비자맞춤 상거래 |
|
아웃링크(out link) |
외부 연결 (방식) |
|
인링크(in link) |
내부 연결 (방식) |
|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
개방형 혁신전략 |
|
실버서퍼(silver surfer) |
디지털친화 어르신 |
|
인슈어테크(insurtech) |
보험정보 기술 |
|
캄테크(calmtech) |
자동 편의 기술 |
|
크로스 미디어(cross media, cross media) |
매체 다양화 |
|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
디지털 거리 두기 |
|
크라우드 워커(crowd worker) |
대규모 참여형 노동자 |
|
피버팅(pivoting) |
전략 급선회 |
|
텔레 케어(tele care) |
원격 돌봄 |
|
베이퍼웨어(vaporware) |
신기루 상품 |
|
라이프 로그life log) |
일상 정보 |
|
코드 커팅(cord cutting) |
유선 해지 |
|
프롭테크(proptech) |
부동산 정보 기술 |
|
그린 모빌리티(green mobility) |
친환경 이동 수단 |
|
디지털 에이징(digital aging) |
고령층 정보화 |
|
에이징 테크(aging tech) |
고령 맞춤 기술 |
|
커뮤니티 매핑(community mapping) |
참여형 지도 제작 |
|
오픈 액세스(open access) |
개방형 정보 열람 |
|
키 비주얼(key visual) |
핵심 장면 |
|
헬스테크(health tech) |
건강 기술 |
|
플랫폼 노동(platform 노동) |
온라인 매개노동 |
|
딥페이크(deepfake) |
첨단 조작 기술 |
|
소셜 디자이너(social designer) |
공동체 활동가 |
|
키로거(key logger) 공격 |
자판 정보 탈취 |
|
랜섬웨어(ransomware) |
금품 요구 악성 프로그램 |
|
해킹(hacking) |
무단 침입 |
|
스미싱(smishing) |
문자결제 사기 |
|
파밍(pharming) |
사이트 금융사기 |
이해하기 어려운 IT 용어를 우리말로 풀어보면 이해하기 쉬운 경우가 많은 편이다.
무조건 순우리말을 써야 한다기보단 IT 용어와 함께 우리말도 알아두고 함께 쓰면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