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통신 '스타링크' 에 대하여 알아보기3 - 서비스 지역, 가입 가격, 가입이 필요한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우크라이나의 통신을 제공하면서 재이슈가 된 스타링크.
러시아의 공격으로 우크라이나의 주요 통신망 시설이 파괴되면서 앨런머스크에게 스타링크 제공을 요청했고, 머스크가 'Starlink is now active in Ukraine' 이라며 제공을 밝혔다.
![]() |
https://satellitemap.space/?constellation=starlink |
스타링크
지구와 화성간의 통신망 구축을 목적으로 시작된 프로젝트.
기존의 위성망 통신, 수중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인터넷의 단점과 한계를 극복한 통신 방법.
2020년대 말까지 약 42,000여 개 이상의 위성을 발사하여 전세계 어디서나 최대 1Gbps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테슬라 완전자율주행을 위해서도 필요한 서비스)
기존 위성 통신망과의 비교
기존 위성의 경우, 현재 사용중인 유,무선 통신망과 비교해 통신속도, 장비와 요금에 있어 모든게 뒤쳐진다.
첫번째 문제점인 통신 속도는 위성이 너무 높이 있다는데 있다. 안테나 장비도 더욱 크고 비싼 장비를 써야 한다. 위성망 통신을 사용하는 정지궤도위성은 고도 약 36,000km 에 위치해 있다.
스타링크의 위성은 고도 약 500km 높이에서 돌아다닌다. 대신 하나의 위성이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을 많이 쏴서 지구를 모두 커버하려 한다.
기존 위성은 지구 자전주기와 동일하게 돌지만 스타링크 위성은 계속해서 지구상의 다른 지역을 지나간다. 대신 다수의 위성이 떠있으니 지구의 특정 지역에 여러 위성이 지나간다.
일반적으로는 고정된 여러 기지국에 사람이 핸드폰(무선통신)을 사용하며 돌아다닐 경우, 특정 기지국의 통신 제공 범위 내의 셀을 벗어나 다른 기지국으로 넘어갈 경우 핸드오버가 일어난다.
스타링크는 반대로 특정 지역을 커버하는 위성(기지국)이 돌아다니면서 핸드오버가 일어난다.
위성 궤도망 구축 3단계
1단계
고도 540~570km 사이 네 가지 궤도의 위성 4425개를 띄워 네트워크 구축
2단계
고도 330~340km 사이 세 가지 궤도 위성 7518개 띄워 네트워크 추가 구축
3단계
성능 강화를 위한 위성 3만개 추가.
340~614km 사이에 아홉 개 궤도의 위성 2만 9988대 추가.
2022년 1월 기사를 보니 2,000개 이상의 위성이 올라갔고, 10% 이상이 궤도를 이탈해 추락했다고 한다.
스타링크 트레인(Starlink Train)
위키피디아 검색하다 맘에들어 가져온 스타링크 트레인
https://namu.wiki/w/%EC%8A%A4%ED%83%80%EB%A7%81%ED%81%AC